재태크염^^
10% 룰,35% 법칙,20배 원칙
마리나1004
2008. 1. 22. 09:40
'10% 룰,35% 법칙,20배 원칙.'
수학이나 물리학 공식이 아니다.돈을 버는 재테크의 법칙들이다.수학에는 공식 이란 게 있고 바둑에는 정석이 있듯이 돈을 버는 사람들에게도 법칙이 있다.생 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부가 만들어지도록 돕는 법칙들이다.큰 부자는 하늘이 내 리지만 작은 부자의 경우 생활 속에 재테크 법칙들을 적용하면 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.
CNN머니는 최근 '부자가 되는 5가지 법칙'을 소개했다.평범해 보일지 모르지만 실제 생활이나 투자에 적용해 꾸준히 실천해 나간다면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 .
◆종자돈 모으기=10% 룰
재테크의 시작은 종자돈 마련이다.이를 위해 최소한 수입의 10%는 저축이나 투 자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.해가 지나 수입이 늘어날수록 투자금액도 따라 늘어 나는 방식이다.보통사람들은 일상에서 10% 룰만 지켜도 비교적 풍요로운 노후를 보장받을 수 있다.단 10% 룰은 최소한의 마지노선일 뿐이다.이 비율을 15%나 20%로 높인다면 부자가 될 수 있다.
◆빚 관리=35% 법칙
빚 관리도 재테크의 중요한 부분이다.빚은 잘쓰면 약이 되지만 못쓰면 독이 된 다.실제로 많은 부자들이 빚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단기간에 부를 축적했다.반면 빚을 잘못 써 패가망신한 사람들은 더 많다.특히 내집 마련에 나설 때 빚이 급 격하게 늘어나는 경향을 보인다.이런 경우라도 주택대출 원리금이 소득의 30%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게 좋다.주택대출을 포함한 醍?빚에 대한 상환금이 소득의 35%를 초과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.
◆투자 자산 배분=120의 법칙
투자 자산 배분(포트폴리오)에 황금비율은 없다.연령대 등을 고려해 나이별로 적절한 포트폴리오를 꾸려야 한다.투자 자산을 배분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'120의 법칙'이다.120에서 자신의 나이를 뺀 수치만큼 주식 등 공격적인 대상에 투자하고 나머지는 안전 자산으로 보유하라는 것이다.예컨대 30세 직장 인이라면 90%를 주식에 투자하고 나머지 10%를 채권이나 현금성 자산 등에 남기 는 게 좋다.50세 직장인은 주식 70%와 채권 30%의 비율로 안전 위주의 투자를 해야 한다.
◆은퇴 준비=20배 원칙
은퇴 준비는 인생의 가장 중요한 재무 목표 중 하나다.평균 수명이 갈수록 길어 지는 데다 사오정(45세가 정년) 오륙도(56세까지 회사에 남아 있으면 도둑놈)라 는 말이 나올 정도로 조기 퇴직이 일반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은퇴 준비는 젊은 사람들에게도 '발등의 불'이다.
'20배 원칙'은 은퇴 준비를 위한 기본 지침이다.만일 은퇴 후 연간 4000만원의 생활비가 필요하고 이 중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으로 1000만원을 충당할 수 있다 면 나머지 3000만원의 20배인 6억원을 은퇴 전에 모아놓아야 한다는 얘기다.연 금리 5%를 가정할 경우 6억원이 있어야 매년 이자로 3000만원을 받을 수 있어 서다.만일 연 이자가 4%로 떨어진다면 필요한 노후 생활비의 25배를 은퇴 전에 마련해야 한다.
◆비상금=3개월의 원칙
꾸준한 재테크에 실패하는 요인 가운데 하나는 예상치 못한 급전 때문이다.최소 한의 여유자금 없이 모든 돈을 1년 이상 금융상품에 넣거나 투자할 경우 가족의 병 등으로 급전이 필요할 때 손해를 감수하고 금융상품을 해약하거나 빚을 내 야 한다.이 같은 사태를 막기 위해선 급한 용도에 쓸 수 있도록 비상 재원을 별 도의 주머니에 넣어둬야 한다.최소한 3달치 생활금 정도는 비상금 주머니에 넣 어두는 게 좋다.만일 아이가 있다면 6개월치 정도의 생활비를 넣어둬야 한다.비 상금 주머니로는 수시입출금이 가능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를 주는 MMD A(시장금리부 수시입출식 예금)나 CMA(자산관리계좌)를 고려해 볼 만하다.
| |